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5월, 2025의 게시물 표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독립유공자 및 유족 의료비 지원

독립유공자 및 유족 의료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지원유형 : 서비스(의료) - 지원내용 ○ 독립유공자 유족에게 100만원/년 한도 의료비 지원 - 서비스목적 독립유공자 유족 및 독립유공자 유족 배우자에게 년 한도 100만원 내 의료비지원을 통해 독립유공자에 대한 예우 증진 - 지원대상 ○ 관내 거주 독립유공자 유족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구비서류 ○ 신청인 제출 서류 - 진료내역 및 진료영수증 - 신분증 ○ 공무원 확인가능 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행정정보공동이용 사전 동의 필요 - 문의처 복지정책과/033-640-5497 - 자치법규 강릉시 국가보훈대상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장기요양급여비용 지자체 부담금 지원

장기요양급여비용 지자체 부담금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의료급여수급권자의 노인장기요양급여 지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시설입소 의료급여수급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개인 신청절차 없음 - 구비서류 - 문의처 경로장애인과/033-640-5158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제 28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명절 어려운 국가유공자 위문품 지급

명절 어려운 국가유공자 위문품 지급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 설, 추석 어려운 국가유공자 가구 위문품 지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관내 거주 국가유공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개인 신청절차 없음 - 보훈청 등록 국가유공자 확인 후 직권 지급 - 구비서류 ○ 대상자 자체선별에 의한 직권교부 - 문의처 복지정책과/033-640-5497 - 자치법규 강릉시 국가보훈대상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원주시 시민안전보험

원주시 시민안전보험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현금(보험) - 지원내용 자연재해(일사병, 열사병 포함)로 인해 사망한 경우 1500 폭발, 화재, 붕괴, 산사태로 상해 사망한 경우 1500 상해로 화상을 입고 병원 또는 의원 등에서 수술을 받은 경우(심재성2도 이상) 100 폭발, 화재, 붕괴, 산사태로 3~100% 상해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500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 사망한 경우 1000 대중교통 이용 중 3~100% 상해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전세버스 이용 중 상해 사망한 경우 1000 전세버스 이용 중 3~100% 상해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만 12세 이하) 보험기간 중에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한 지역에서 교통사고로 상해를 입은 경우 1000 물놀이 사고로 인해 사망한 경우 1000 농기계 사고에 의한 사고의 직접적인 결과로 사망한 경우 1500 농기계 사고에 의한 사고의 직접적인 결과로 3~100% 상해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500 사회재난(감염병 제외)로 인해 사망한 경우 1500 개 물림사고의 직접적인 결과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은 경우 10 개 물림사고의 직접적인 결과로 사망한 경우 1000 개 물림사고의 직접적인 결과로 3~100%의 상해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 서비스목적 재난·사고로 인한 주민(등록외국인 포함)의 생명·신체 피해를 보상하고자 보험료를 관할지자체가 부담함으로써 피해자가 일상으로 복귀할수 있도록 지원 - 지원대상 지역 주민 모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방문신청 - 구비서류 - 문의처 시민안전보험/1522-3556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원주시 주소 이전 대학생 학자금 지원

원주시 주소 이전 대학생 학자금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1인당 10만 원 (학기별 신청 및 지급) - 서비스목적 거주지 이동 대학생 학자금 지원은 가족과 떨어져 생활하고 있는 학생들이 원주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대학 생활을 하기를 바라는 환영의 의미와 함께 인구증가를 통한 원주시 성장 동력의 기틀을 마련 - 지원대상 ○ 관내 대학생으로 타 시군에서 원주시 전입 후 1개월 이상 경과 한 대학생(기숙사 포함) ※ 제외대상 : 외국인, 재외국민, 휴학생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1학기:4~5월중 / 2학기:10~11월중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구비서류 ○ 제출서류 - 학자금 지급 신청서(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비치) 1부 - 재학증명서 1부 - 통장사본(본인) 1부 ※ 신분증 지참하여 본인 방문 신청 - 문의처 원주시 교육청소년과/033-737-2688 - 자치법규 원주시 대학생 거주지 이동 지원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청년 동아리 활동비 지원

청년 동아리 활동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지원대상 - 18~39세 관내 청년 5인 이상으로 구성된 동아리 (※ 구성원 과반이 원주시에 주민등록을 둘 것) (※ 종교·영리·정치 목적으로 구성된 동아리 제외) ○ 지원내용 - 활동 내역 제출에 따른 활동비 후불 지급 (1팀×100,000원×3개월) - 서비스목적 청년들의 여가생활, 특기 및 소질 개발 기회 제공을 위한 동아리 모임 지원으로 또래 문화 활성화 - 지원대상 18~39세 관내 청년 5인 이상으로 구성된 동아리 (※ 구성원 과반이 원주시에 주민등록을 둘 것) (※ 종교·영리·정치 목적으로 구성된 동아리 제외)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2025.08.04~2025.08.29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https://www.wonju.go.kr/wjyouth/index.do - 신청방법 ○ 방문, 온라인 신청 - 구비서류 ○ 제출서류 - 지원사업 신청서 1부 - 회원명단 및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1부 - 주민등록초본(※해당자에 한함) - 문의처 원주시청 복지정책과/033-737-2308 - 자치법규 원주시 청년 기본 조례(제14조) - 행정규칙 - 법령 청년기본법(제21조)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전입 청년 교통비 지원

전입 청년 교통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사업개요 - 지원대상: 2023. 1. 1. 이후 원주시로 전입하여 거주하고 있는 *18~39세 청년 중 관외에 직장을 두고 출퇴근하는 자(*신청일 기준) - 지원기간 및 지원금액: 월100,000원*12개월=1,200,000원(실비지급) - 지원내용: 대중교통비(고속, 시외, 기차), 승용차 유류비 - 서비스목적 타 지역에 직장을 두고 원주로 전입하는 청년들의 교통비 지원을 통해 청년층의 원주시 전입 및 정착 유도 - 지원대상 2023. 1. 1. 이후 원주시로 전입하여 거주하고 있는 *18~39세 청년 중 관외에 직장을 두고 출퇴근하는 자 (*신청일 기준)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2025.05.01~2025.06.20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https://www.wonju.go.kr/wjyouth/index.do - 신청방법 ○ 방문, 온라인 신청 - 구비서류 ○ 지원 대상자 모집시 제출서류 - 전입청년 교통비 지원사업 신청서 1부 [붙임1] - 정보제공동의서 1부 [붙임2] - 사업신청 각서 1부 [붙임3] - 주민등록초본 1부 - 재직증명서 1부 - 사업자등록증 1부 -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1부 ○ 지원 대상자 선정 후 제출서류 - 주민등록초본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 지출 증빙 서류 - 본인 명의 통장사본 - 문의처 원주시청 복지정책과/033-737-2307 - 자치법규 원주시 청년 기본 조례(제14조) - 행정규칙 - 법령 청년기본법(제21조)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원주사랑상품권

원주사랑상품권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기타 - 지원내용 ○ 소비자 - 지역상품권 구입 시 7%~10% 구매지원(선 할인) - 월 1인 구매한도(30만 원), 최대 보유한도(150만 원) ○ 가맹점 - 모바일(QR) 결제를 통한 카드 수수료 절감, 홍보 효과, 가맹점 매출 증대 - 서비스목적 ○관내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매출 증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유가증권의 지역 내 소비 촉진을 통한 자금의 역외 유출 방지 - 지원대상 ○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든지 구입 가능 ○ 만 14세 이상이면 누구든지 사용 가능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 본인 명의 핸드폰에서 지역상품권 chak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 '카드신청' 및 '개인정보 등록' 후 원주사랑상품권 충전 (일부 구매 지원) ○ 방문신청 - 원주시 소재의 NH농협은행, 우리은행, 우체국, 새마을금고, 신협을 방문하여 신청 - 카드신청 및 원주사랑상품권 충전 (일부 구매 지원) - 구비서류 - 문의처 경제진흥과/033-737-2936 - 자치법규 원주사랑상품권 발행 및 운영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가사·간병 방문 지원

가사·간병 방문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이용권 - 지원내용 ○ 지원대상 : 65세 미만의 기준중위소득 70% 이하 계층 중 가사·간병 서비스(신체수발, 청소·식사, 외출동행 등)가 필요한 자 -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6개월 이상 치료를 요하는 중증질환자, 희귀난치성 질환자, 소년소녀가정, 조손가정, 한부모가정, 65세 미만의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 ○ 서비스 금액(1인/월) - 정부지원금 ㆍA형(월24시간) : 가형 412,800원 / 나형 388,030원 ㆍB형(월27시간) : 가형 450,470원 / 나형 436,540원 ㆍC형(월40시간) : 688,000원 - 본인부담금 ㆍA형(월24시간) : 가형 면제 / 나형 24,770원 ㆍB형(월27시간) : 가형 13,930원 / 나형 27,860원 ㆍC형(월40시간) : 면제 ○ 제공기간 : 12개월(단, 재판정 절차를 통해 1년 단위로 연장 가능) - 서비스목적 ○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이 어려운 저소득층을 위한 가사.간병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취약계층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가사.간병 방문 제공인력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 - 지원대상 ○ 사업대상: 65세 미만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중 -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우선 신청) - 중증질환자, 희귀난치성질환자, 의료급여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 - 소년소녀가정, 조손가정, 한부모가정의 자녀 및 손자녀 - 예산의 범위 내에서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구비서류 사회보장급여(사회서비스이용권) 신청서 등 - 문의처 원주시청 생활보장과/033-737-2671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가정위탁아동 양육보조금 지원

가정위탁아동 양육보조금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가정위탁아동보호로 결정된 아동에게 매월 20일 양육보조금을 계좌로 현금 지급 (연령별 차등지급) - 만 7세 미만: 300천 원 - 만 7세부터 만 13세 미만: 400천 원 - 만 13세 이상: 500천 원 - 서비스목적 가정위탁 가정에 양육수당을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아동의 양육환경 개선 - 지원대상 ○ 가정위탁책정 아동 100명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신청 방법 - 아동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처리 절차 아동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가정위탁 상담지 접수 후 아동보호전담요원이 위탁신청 가정조사. 이후 가정위탁 신청서 작성 및 위탁가정 양성교육 이수 후 원주시 사례결정위원회 심의를 통해 가정위탁책정. - 구비서류 - 문의처 보육아동과/033-737-2591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아동복지법(제59조)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노인의치(틀니) 시술비 지원

노인의치(틀니) 시술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서비스(의료) - 지원내용 ○ 만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본인부담경감대상자) 대상으로 노인의치(틀니) 시술비 지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만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본인부담경감대상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보건소 : 방문 (방문 전 전화 필수) - 구비서류 - 문의처 보건소 건강증진과/033-737-3996, 보건소 건강증진과/033-737-3996 - 자치법규 원주시 노인의치 지원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청각장애인 인공달팽이관 수술 지원

청각장애인 인공달팽이관 수술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서비스(의료) - 지원내용 저소득 청각장애인의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및 재활치료비 지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법정 차상위계층이면서 시설·재가 청각장애인 중 수술적격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원주시청 장애인복지과로 직접 방문 ○ 지원절차 - 수술전검사: 시술가능 병원에 수술 적격 여부 사전 검사 신청 - 수술결정 및 수술: 시·군·구청에 신청 서류 제출 / 시설입소 청각장애인의 수술비용은 시설장에 지급, 재가 청각장애인의 수술비용은 수술병원에 직접 지급 - 수술후 사후관리: 재활치료 담당 센터를 지정하여 매 3월마다 시·군·구청에 치료결과 및 발전정도 통보 - 구비서류 수술 가능 확인서 1부, 인공달팽이관시술 지원사업 보조금 교부 신청서 및 수행계획서 1부 - 문의처 장애인복지과/033-737-2714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장애인복지법(제18조)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저소득주민 국민건강보험료 지원

저소득주민 국민건강보험료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현금(보험) - 지원내용 ○ 원주시에 주소를 둔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가입자로서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산정ㆍ부과된 건강보험료가 보건복지부가 정한 최저보험료 이하인 65세 이상 노인세대 - "65세 이상 노인세대(이하 “노인세대”라 한다)”라 함은 세대주 또는 세대원이 보험료 부과 기준일 현재 주민등록상 65세 이상인 세대를 말함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원주시에 주소를 둔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가입자로서「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산정ㆍ부과된 건강보험료가 보건복지부가 정한 최저보험료 이하인 65세 이상 노인세대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개인 신청절차 없음- 별도 신청 불요 - 구비서류 - 문의처 원주시청 생활보장과/033-737-2661 - 자치법규 원주시 저소득주민 국민건강보험료 등 지원에 관한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춘천시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

춘천시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만 19세 이상 ~ 만 45세 이하, 독립경영 3년 이하의 영농종사자 및 예정자 대상, 최대 3년간 매월 100만원씩 영농정착 지원금 지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춘천시에 거주하는 만19세 이상 ~ 만45세 이하, 독립경영 3년 이하의 영농종사자 및 예정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매년 2~3월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구비서류 : 지원신청서, 계획서 및 증빙서류 - 구비서류 - 문의처 미래농업과/033-250-4738 - 자치법규 춘천시 청년농업인 육성 및 지원 조례(제6조, 제1항)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한우 정액 및 거세 시술비 지원

한우 정액 및 거세 시술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서비스(의료)||현금 - 지원내용 ○ 춘천시 관내에서 한우를 사육하는 농가 대상으로 거세 시술비, 정액지원(후보종모우) - 거세 시술비는수송아지 거세비 지원 - 정액 지원은 후보종모우 정액 가능 - 거세 시술비는 1두당 5만원이며, 보조 40%, 자부담 60% - 정액 지원은 1두당 1만원이며, 보조 50%, 자부담 50%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관내 축산업 등록을 한 한우농가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기타 : 춘천철원화천양구축협 - 구비서류 - 문의처 축산과/033-250-3395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축산법(제3조)

[경기도 양평군] 취약계층 알레르기질환 의료비 지원

취약계층 알레르기질환 의료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경기도 양평군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아토피, 천식 예방사업 추진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관내 기준중위소득 80%이하 가정 또는 한 부모, 조손 부모 가정(소득 기준 제외) 의 만 18세 이하(2007년 이후 출생) 알레르기 환아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방문신청 - 구비서류 - 알레르기질환 의료비 지원신청서,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제공 동의서 - 신청자 신분증(신청 시 확인용), 주민등록등본, 통장사본 - 의료급여증 또는 건강보험 자격확인서(소득원 2인 이상 이실 경우 각각 제출) - 건강보험 납부확인서(소득원이 2인 이상 이실 경우 각각 제출) - 진료확인서(통원확인서 또는 처방전): 2025년 진료 날짜별 알레르기 질병코드 모두 기재 - 진료비 세부 내역서: 2025년 진료 날짜별 알레르기 질병코드 모두 기재 - 약제비 영수증: 처방전과 함께 제출시 인정 - 문의처 양평군보건소/031-770-3834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보건의료기본법(제41조)

[경기도 과천시]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전환)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전환) - 소관기관명 : 경기도 과천시 - 지원유형 : 서비스(돌봄) - 지원내용 ○ 산모 건강관리 : 유방관리, 부종관리, 영양관리, 좌욕지원, 산후 위생관리 ○ 신생아 건강관리 : 신생아 청결·위생관리(목욕, 배꼽관리, 기저귀교체, 용품소독), 수유 및 예방접종 지원 ○ 산모·신생아 가사지원 : 산모 식사준비, 산모 및 신생아 주 생활공간 청소, 산모 및 신생아 의류 세탁 ○ 산모 정보제공 및 정서지원 : 응급상황 발견 및 대응, 감염 예방 및 관리, 정서 상태 이해 및 지지 ※ 산모·신생아 외 다른 가족 돌봄이나 일반 가사활동영역은 표준 서비스에 포함되지 않는 부가 서비스이므로 원하는 경우 별도로 추가구매가 필요함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산모 및 배우자 등 해당가구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중위소득 150%이하 금액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생활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의 출산가구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http://www.bokjiro.go.kr - 신청방법 1. 온라인 신청: 복지로 2. 방문신청: 과천시보건소 건강증진과 모자건강팀(신분증, 임신확인서 지참) - 구비서류 1. 온라인 신청: 임신확인서 또는 산모수첩 1부(최근 초음파 사진 첨부, 분만예정일 명시) 2. 방문 신청 ○ 필수: 신분증 ○ 신청인 제출서류 - 임신확인서 또는 산모수첩 1부(최근 초음파 사진 첨부, 분만예정일 명시) - 휴직증명서(해당자) - 대리인, 외국인, 사실혼인 경우 가족관계증명서(해당자) - 대리인인 경우 위임장(해당자) - 사실혼인 경우 사실혼확인보증서, 배우자 신분증 사본, 보증인 2명 신분증 사본(해당자) - 미숙아 선천성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 입퇴원일이 명시된 진단서 또는 입퇴원 확인서(해당자) - 외국인인 경우 외국인 국내거소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산후 건강관리 지원

산후 건강관리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강원도 내 6개월 이상 거주 산모에게 산후 건강관리비 현금지원 - 첫째 15만원, 둘째 20만원, 셋째아 이상 30만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강원도내 6개월 이상 거주 산모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보건소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 구비서류 1. 신청인 신분증 2. 주민등록등초본 -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생략 가능 - 출생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출생증명서 추가 제출 3. 진료비영수증 및 약제비영수증 -인정되는 진료비 영수증 및 약제비 영수증 의료법에 의한 의원급 의료기관(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조산원, 병원급 의료기관(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종합병원)에서 발급한 진료비 영수증(이름, 진료일 반드시 포함) 및 의료기관 처방전에 의해 약국에서 발급한 약제비 영수증(이름, 조제일 등 포함)만 인정 4. 신청자(산모) 통장사본 - 문의처 의료지원과/033-737-4057 - 자치법규 강원도 출산·양육 지원 조례(제31조, 제1항) - 행정규칙 - 법령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제9조)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효행장려금 지급

효행장려금 지급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분기당 5만원 지급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3대이상 만85세 이상 노인을 직계존비속으로 구성된 가족이 3년 이상 원주시에 주민등록상 한 세대를 구성하고 실제 거주하는 가정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보조금24 온라인 신청 - 구비서류 1. 신청서(별지 제1호 서식) 2. 신청인의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3. 주민등록등본 1부. 4. 계좌번호가 표기된 통장 사본 1부. - 문의처 경로복지과/033-737-2684 - 자치법규 원주시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춘천시 시민안전보험

춘천시 시민안전보험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보험) - 지원내용 자연재해(일사병, 열사병 포함)로 사망한 경우 1500 폭발, 화재, 붕괴 사고로 상해 사망한 경우(만15세미만자 제외) 1500 폭발, 화재, 붕괴 사고로 3~100%의 상해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 사망한 경우(만15세미만자 제외) 1500 대중교통 이용 중 사고로 3~100%의 상해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전세버스 이용 중 상해 사망한 경우(만15세미만자 제외) 1500 전세버스 이용 중 사고로 3~100%의 상해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어린이보호구역에서 교통사고로 부상 시 부상 등급에 따라 치료비 지급(만 12세 이하, 부상등급 1~14급) 1000 급격하고도 우연한 익사사고로 인해 사망한 경우(만15세 미만자 제외) 1000 농기계로 인하여 상해 사망한 경우(만15세 미만자 제외) 1500 농기계로 인하여 3~100%의 상해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강력·폭력범죄 피해로 사망하거나 1개월을 초과하는 의사치료를 요하는 신체상해를 입은 경우 1000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에서 정한 사회재난으로 사망시(감염병제외, 만15세 미만자 제외) 0 개물림 사고의 직접결과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은 경우 10 개물림 사고에 의해 직접적인 결과로 사망한 경우(만15세 미만자 제외 1500 개물림 사고에 의해 직접적인 결과로 3~100%의 상해 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에서 정한 사회재난으로 사망시(감염병제외, 만15세 미만자 제외) 1500 상해의 직접적인 결과로 사망한 경우 장례식장 이용으로 발생된 장례비용 지원( 교통사고 제외, 만15세 미만자 제외) 500 자연재해로 인한 상해로 1일이상 최초진단을 받고 실제치료중이거나 종료된 경우 100 - 서비스목적 재난·사고로 인한 주민(등록외국인 포함)의 생명·신체 피해를 보상하고자 보험료를 관할지자체가 부담함으로써...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산후조리비 지원

산후조리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춘천시 6개월이상 거주 출산 산모 산후조리비 지원 - 산모 1인당 50만원 지원(다태아 출산 산모 100만원) ※ 2023년 1월 1일 출산산모부터 적용 ※ 유사사업 중복지원 제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출산일 기준 춘천시 6개월 이상 계속 거주 산모 (단, 출산일 이전 전입하여 기간을 충족하지 못 할 경우 6개월 경과한 날부터 지원) -출생아는 춘천시에 출생신고 및 주민등록이 되어있을 것 -부부 중 한명은 반드시 대한민국 국적(주민등록)이어야 할 것 (외국인 산모는 외국인 등록자일 것) ※유사사업 중복지원 제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2023년 1월 1일 출산산모부터 적용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온라인 신청 - 신청방법: 보건소 방문, 온라인 보조금24 - 신청기한: 출산 후 6개월 이내 - 구비서류: 산모 신분증, 산모명의 통장사본, 주민등록등‧초본, 가족관계증명서(등본상 세대분리 시) - 구비서류 ○ 산모 신분증, 산모명의 통장사본, 주민등록등‧초본, 가족관계증명서(등본 상 세대분리 시) - 문의처 보건소 건강관리과/033-250-3993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제10조), 건강가정기본법(제21조), 모자보건법(제3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학교 밖 청소년 꿈드림 수당(자기개발 지원)

학교 밖 청소년 꿈드림 수당(자기개발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이용권 - 지원내용 ○ 강원특별자치도 1년이상 계속 거주 춘천시 9세~19세 미만 학교 밖 청소년에 월 50,000원(분기별 최대 150,000원) 모바일춘천사랑상품권 충전 지급 - 서비스목적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자기개발, 진로탐색 등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육성 - 지원대상 ○ 강원특별자치도 1년 이상 계속 거주 학교 밖 청소년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구비서류 : 신청서, 초본, 학교 밖 청소년임을 증명하는 서류(미진학,정원외관리 증명서 등) - 구비서류 - 문의처 여성가족과/033-250-4298 - 자치법규 춘천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제5조) - 행정규칙 - 법령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제10조),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제9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기능성 필름 지원

기능성 필름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 기능성 필름 지원 - 0.15㎜이상 / 내구년수 5년 이상(품질보증서 필) ○ 지원한도 : 1,000㎡ 이상 ○ 지원비율 : 보조 50%, 자부담 50% - 서비스목적 시설채소 농가의 잦은 필름 교체 비용 감소를 통한 농가 수익 증대 및 우수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 도모 - 지원대상 ○ 시설원예 생산자단체(법인, 작목반 등) 및 농가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매년 1월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주민센터 : 농지소재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산업경제팀 방문 신청 - 구비서류 사업신청서,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 임대차서류(해당농가만), 견적서, 기타 증빙서류(공동생산, 공동판매, 수출실적, 재해보험증서 등), 사업계획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지방세(세외수입) 체납여부 확인 개인정보 수집 동의서 - 문의처 푸드테크산업과/033-250-3343 - 자치법규 춘천시 농어업 분야 보조금 지원 조례(제3조)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농기계 수리비 지원

농기계 수리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농기계 수리비 지원 : 농기계 수리지정점 이용 농기계 수리(부품)비 지원 ○ 농가당 4기종, 60만원(15만원/기종당) 한도로 추가비용은 자부담 처리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춘천시 주소지를 두고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농업인 ○ 춘천시에 소재하는 생산자단체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기타 : 농기계 수리지정점 방문 - 구비서류 - 문의처 농업지원과 농기계팀/033-250-4338 - 자치법규 춘천시 농기계수리소 설치 및 운영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산후 건강관리 의료비 지원

산후 건강관리 의료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출산 후(출산한당일 포함) 사용한 의료비 및 약제비를 지원 ※ 출생순위 별 지원 한도 내 지원 : 첫째(15만원), 둘째(20만원), 셋째이상(30만원) - 서비스목적 임산부의 산후 모성보호 및 건강관리를 지원하여 아이낳기 좋은 환경 조성 - 지원대상 ○ 신청일 기준 도내 6개월 계속 거주 임산부 ○ 아기 출생신고 후 신청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온라인 신청 - 신청방법: 관할 보건소 방문, 보조금24 - 신청기한: 출산 후 6개월 이내 - 구비서류: 산모 신분증, 산모명의 통장사본, 진료비 영수증 및 약제비 영수증 원본, 진료비 상세내역서(출산 이전 계산시), 가족관계증명서(등본 상 세대분리 시) - 구비서류 ○ (공통) 산모 신분증, 산모명의 통장사본, 진료비 영수증 및 약제비 영수증 원본 ○ (추가) - 진료비 상세내역서(입원일과 분만일이 상이한 경우) - 가족관계증명서(아기와 산모가 등본 상 세대분리된 경우) - 문의처 보건소 건강관리과/033-250-4663 - 자치법규 강원도 출산·양육 지원 조례(제13조, 제1항) - 행정규칙 - 법령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제9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한센병 관리 지원

한센병 관리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서비스(의료) - 지원내용 ○ 한센병 환자 대상 찾아가는 의료서비스 제공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한센병 환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기타 : 한센병전문기관 - 구비서류 - 문의처 한국한센복지협회 강원특별자치도지부/033-742-8718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4조의2, 제2항)

[보건복지부] 의료급여 본인부담 면제(외래)

의료급여 본인부담 면제(외래) - 소관기관명 : 보건복지부 - 지원유형 : 서비스(의료) - 지원내용 ○ 의료급여 수급권자에 대한 의료비를 지원 - 서비스목적 의료급여 수급권자에 대한 의료비를 지원하여 저소득층 국민 보건 향상과 사회복지 증진에 기여 - 지원대상 ○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본인부담 면제 대상자(외래) -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 중 당연 적용(사유 발생식 일괄 적용) : 18세 미만자, 행려환자, 등록 결핵질환자, 등록 중증질환자, 등록 희귀질환자 및 등록 중증난치질환자, 선택의료급여 기관이용자 -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 중 신청 적용 : 20세 미만 재학자, 임산부, 가정간호대상자 - 선정기준 ○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 - 선정기준 ○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 - 신청기한 : 접수기관 별 상이 - 접수기관명 : 시·군·구청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시군구청에 방문하여 신청 - 의료급여 수급자 또는 부양의무자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급한 요양급여내역 및 진료비 영수증, 재학증명서 등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보장기관에 신청 - 구비서류 신청서 - 문의처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의료급여법 시행규칙(제19조의4)

[경기도 파주시] 파주시 희망플러스+ 돌봄서비스

파주시 희망플러스+ 돌봄서비스 - 소관기관명 : 경기도 파주시 - 지원유형 : 서비스(돌봄)||서비스(의료) - 지원내용 파주시 관내 저소득 노인 욕구실 태조사 및 주거환경 개선. 재가돌봄 서비스 제공 - 서비스목적 갑작스런 부상 및 질병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거동불편 대상에게 돌봄, 동행, 식사, 주거 등 필요에 의함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 지원 - 지원대상 ○ 서비스 대상 : 50세이상 1인가구 및 65세 이상 거동불편 대상 통합돌봄서비스 제공 - 급성기질환 퇴원환자 - 퇴원 후 돌봄 가족 혹은 거동불편하여 재 입원 우려가 있는 환자 ※ 단, 타기관 유사서비스 및 노인장기요양등급 인정자 혹은 서비스 받고 있는자,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받고 있는자 등 중복서비스 불가함.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복지팀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거동이 불편한 대상은 유선 혹은 ㅇ가족, 이웃, 공무원 직권에 의하여 신청 가능함. - 구비서류 ○ 신청서(자체 양식), 입,퇴원확인서 등 서비스 제공에 따른 필요서류 - 문의처 복지정책과/031-940-8584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경기도 남양주시] 가정위탁 아동 능력개발비 지원

가정위탁 아동 능력개발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경기도 남양주시 - 지원유형 : 현금(감면) - 지원내용 ○ 국어, 영어, 수학 등 교과목에 대한 학원 수강비 월 최대 10만원 이내 현금지원 - 매달 25일에 계좌로 지급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가정위탁아동(초중고등학생)능력개발을 위한 학원 수강비(교과목)지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제출서류 : 신청서1부, 학원 수강 영수증 1부(신용카드, 현금영수증, 계좌이체증) /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 - 구비서류 ○ 수강료 납부 영수증 첨부하여 매월 읍면동사무소에 능력개발비 지급 신청서 제출 - 문의처 여성아동과/031-590-8481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아동복지법

[경기도 남양주시] 중풍 ‧ 와상 노인 생활용품 지원(기저귀)

중풍 ‧ 와상 노인 생활용품 지원(기저귀) - 소관기관명 : 경기도 남양주시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 기초생활수급자 중 중풍 ‧ 와상 질환을 가진 노인 - (1순위) 장기요양 등급 외 대상자 중 중풍 ‧ 와상 질환 노인 - (2순위) 등급자 중 생활실태표 상 지원이 현저하게 필요하여 읍면동장이 추천한 노인 - 서비스목적 중풍 ‧ 와상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기초생활수급 노인에게 생활용품 지원을 통한 안정된 생활 보장 - 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중 장기요양 등급 외 대상자 중 중풍 ‧ 와상 질환 노인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구비서류 - 문의처 노인복지과/031-590-2596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노인복지법, 노인복지법(제4조)

[경기도 과천시]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확대)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확대) - 소관기관명 : 경기도 과천시 - 지원유형 : 서비스(돌봄) - 지원내용 ○ 산모 건강관리 : 유방관리, 부종관리, 영양관리, 좌욕지원, 산후 위생관리 ○ 신생아 건강관리 : 신생아 청결·위생관리(목욕, 배꼽관리, 기저귀교체, 용품소독), 수유 및 예방접종 지원 ○ 산모·신생아 가사지원 : 산모 식사준비, 산모 및 신생아 주 생활공간 청소, 산모 및 신생아 의류 세탁 ○ 산모 정보제공 및 정서지원 : 응급상황 발견 및 대응, 감염 예방 및 관리, 정서 상태 이해 및 지지 ※ 산모·신생아 외 다른 가족 돌봄이나 일반 가사활동영역은 표준 서비스에 포함되지 않는 부가 서비스이므로 원하는 경우 별도로 추가구매가 필요함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산모 및 배우자 등 해당가구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중위소득 150%초과 금액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http://www.bokjiro.go.kr - 신청방법 1. 온라인 신청: 복지로 2. 방문신청: 과천시보건소 건강증진과 모자건강팀(신분증, 임신확인서 지참) - 구비서류 1. 온라인 신청: 임신확인서 또는 산모수첩 1부(최근 초음파 사진 첨부, 분만예정일 명시) 2. 방문 신청 ○ 필수: 신분증 ○ 신청인 제출서류 - 임신확인서 또는 산모수첩 1부(최근 초음파 사진 첨부, 분만예정일 명시) - 휴직증명서(해당자) - 대리인, 외국인, 사실혼인 경우 가족관계증명서(해당자) - 대리인인 경우 위임장(해당자) - 사실혼인 경우 사실혼확인보증서, 배우자 신분증 사본, 보증인 2명 신분증 사본(해당자) - 미숙아 선천성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 입퇴원일이 명시된 진단서 또는 입퇴원 확인서(해당자) - 외국인인 경우 외국인 국내거소 신고 사실 증명서 ※ 배우자가 대한민국 국적이여야 함. ...

[경기도 안양시] 2025년 경기도 안양시 시민안전보험

2025년 경기도 안양시 시민안전보험 - 소관기관명 : 경기도 안양시 - 지원유형 : 현금(보험) - 지원내용 상해사망(교통상해 제외) 1000 자연재해(일사병,열사병, 저체온증 등 포함)로 사망한 경우 1000 자연재해(일사병,열사병, 저체온증 등 포함)로 3~100%의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화재․붕괴․폭발로 사망한 경우 1500 화재․붕괴․폭발 사고로 3~100%의 상해후유장해 발생한 경우 1500 대중교통 이용중 사고로 상해사망한 경우 2000 대중교통 이용중 3~100%의 상해후유장해 발생한 경우 2000 사회재난으로 사망한 경우(감염병 제외) 1000 사회재난으로 3~100%의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감염병 제외) 1000 자전거 사고로 인해 사망한 경우 1000 자전거 사고로 3~100%의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상해의 직접결과로 인한 화상(심재성2도이상)으로 인해 수술을 받은 경우 100 개물림․부딪힘 사고로 병원 치료한 경우 15 전동보조기기(전동휠체어, 의료용스쿠터) 교통사고 부상치료비 1000 스쿨존 교통사고로 상해를 입은 경우 (만12세이하) 1000 노인보호구역에서 교통사고로 상해를 입은 경우(만65세이상) 1000 - 서비스목적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 사고 및 재난으로부터 인적 피해 등을 지원 - 지원대상 지역 주민 모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전화접수 * 일부담보에 한하여 팩스접수 가능 - 구비서류 (공통서류) - 공제금청구서 - 개인(신용)정보 처리 동의서 - 사고자 기준 주민등록 등본 또는 초본 - 신분증 사본 - 통장사본 * 그외 보장항목별 청구서류는 시 홈페이지 시민안전보험 청구서류 안내 참조 - 문의처 케이비손해보험 컨소시엄/1522-3556 - 자치법규 안양시 시민안전보험 가입 및 운영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인천광역시 옹진군] 저소득 취약계층 의치보철임플란트 지원

저소득 취약계층 의치보철임플란트 지원 - 소관기관명 : 인천광역시 옹진군 - 지원유형 : 서비스(의료) - 지원내용 ○ 지원목적 : 치아의 결손으로 음식섭취가 불편한 저소득층 군민을 대상으로 의치보철을 보급하여 구강기능회복에 기여하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토록 함 ○ 지원내용 - 의치(틀니) 시술비 지원 ㆍ만 40세 이상 ~ 만 64세 이하 : 1악당 80만원 ㆍ만 65세 이상 : 의료급여(건강보험) 본인부담금 전액 - 보철 시술비 지원 : 1개당 19.5만원 - 임플란트 시술비 지원 : 1개당 414.4만원 이내(최대 2개 지원) ○ 지원대상 : 40세 이상 의료급여수급자 및 차상위본인부담경감대상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관내 40세이상 의료급여수급자 및 차상위본인부담경감대상자로 의치보철 필요자 - 1년 이상 주민등록상 주소를 두고 실제로 거주하는 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보건소 : 신청서류를 보건소 또는 보건지소로 제출 - 구비서류 - 문의처 옹진군보건소/032-899-3154 - 자치법규 옹진군 저소득 취약계층 의치보철ㆍ임플란트 지원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구강보건법

[인천광역시 서구] 서구 출산·입양축하금 지원(2024.12.31.출생아까지 지원)

서구 출산·입양축하금 지원(2024.12.31.출생아까지 지원) - 소관기관명 : 인천광역시 서구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출생순위별 출산·입양 축하금 차등 지급(2024.12.31일 출생아까지 지급) - 첫째아 30만원, 둘째아 50만원, 셋째아 150만원, 넷째아 이상 250만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2019.7.1.~2024.12.31. 까지 주민등록을 서구에 한 출생∙입양아로 출생∙입양일 기준 1년 이전부터 계속해서 서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부 또는 모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2024.12.31. 출생아까지 지원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 출생신고일로부터 60일 이내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온라인 : 출생신고일로부터 60일 이내 정부 24 행복출산 온라인 신청 ※ 서구 거주기간 1년 미만인 경우 1년이 경과한 날로부터 60일 이내 신청 - 구비서류 - 문의처 가정보육과/032-560-3445 - 자치법규 인천광역시 서구 행복한 출산ㆍ양육 환경 조성을 위한 조례(제2조, 제2항) - 행정규칙 - 법령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구](보건복지부)영유아 발달 정밀검사비 지원

[구로구](보건복지부)영유아 발달 정밀검사비 지원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구로구 - 지원유형 : 현금 - 서비스목적 영유아 건강검진 효과를 높이고 영유아의 기초건강관리 강화를 위해 발달평가 결과 '심화평가 권고' 판정자에게 정밀검사비 지원 - 지원대상 ○ 영유아 건강검진 발달평가(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 K-DST)에서 '심화평가 권고'로 판정된 영유아(구로구 주민등록) ※ 심화평가 권고 판정 받은 영역에 발달지연 확진 판정을 받아 치료중이거나 동일 유형의 발달장애인 등록자는 지원 제외 - 영유아 건강검진을 받은 날로부터 1년 이내에 발달 정밀검사를 받고, 정밀검사를 실시한 해의 다음연도 상반기(6월 말)까지 신청 예) 2025년 정밀검사를 실시한 경우 2026년 6월 말까지 신청가능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신청방법 - 방문신청 : 구로구보건소 7층 건강증진과 모자보건팀 - 온라인신청: 정부24(보조금24)에서 본인인증 후 구비서류 첨부 ○ 지급시기 및 방법 - 신청일로부터 7일 이내 신청한 통장으로 보건소에서 직접 입금 - 구비서류 ○ 신청인 제출서류 ① 영유아 발달 정밀검사비 지원 청구서 ②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통보서('발달평가결과'에 '심화평가 권고' 표시, 종합판정 또는 소견 및 조치사항에 기재한 것은 인정되지 않음) ③ 영유아 발달 정밀검사 결과통보서(또는 소견서, 진단서 등) ※ 해당 전문의가 작성하고 검사항목 및 검사결과가 기록되어야 함. 검사결과지는 불가. ④ 진료비 영수증 및 진료비 세부내역서 ⑤ 입금통장 사본 ⑥ 신청자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⑦ 지원대상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서류(의료급여증,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차상위계층확인서, 건강보험증 등, 행정정보공동이용 동의서 작성...

[인천광역시 옹진군] 실버보행기 지원운영 지원

실버보행기 지원운영 지원 - 소관기관명 : 인천광역시 옹진군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 실버보행기 지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거동이 불편한 저소득 노인으로 1년 이상 실제로 거주한 노인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각 면사무소 신청 - 구비서류 - 문의처 사회복지과 노인복지팀/032-899-2323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노인복지법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미추홀구치매안심센터 치매예방프로그램 제공

미추홀구치매안심센터 치매예방프로그램 제공 - 소관기관명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지원유형 : 기타(교육) - 지원내용 ○ 치매예방 프로그램 운영 - 대 상 : 일반 지역주민(치매고위험군 포함) - 기 간 : 연중 - 장 소 : 미추홀구치매안심센터 프로그램실 - 인 력 : 외부전문강사, 치매정신건강과 담당자 - 내 용 · 인지강화교실(만 60세 이상 치매고위험군, 인지저하자, 경도인지장애 대상) : 작업치료, 인지강화활동 및 외부강사 활용 프로그램 실시 (미술, 요리활동 등) · 치매예방교실(치매선별검사 결과 만 60세 이상 정상군 대상) : 인지강화활동 및 외부강사 활용 프로그램 실시 (우쿨렐레, 스마트폰 활용, 요리 등) · 찾아가는 치매예방교실(경로당 및 복지관 이용 만 60세 이상 지역주민 대상) : 치매예방교육 및 인지강화활동 실시 등 · 지역사회 치매예방교육(관내 유관기관 및 지역주민 대상) : 치매예방교육 및 치매인식개선 홍보 등(리플릿 배부 등) - 서비스목적 ❍ 지역주민 및 치매 고위험군에게 다양한 인지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치매 발병 가능성 감소 - 지원대상 ○ 인지강화교실: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만 60세 이상 치매 고위험군(인지저하자 등) 어르신 ○ 치매예방교실: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만 60세 이상 정상군 어르신 ○ 찾아가는 치매예방교실: 복지관, 경로당 등 지역사회시설을 이용하는 만 60세 이상 어르신 ○ 지역사회 치매예방교육: 지역주민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신청방법: 유선 신청 - 구비서류 없음 - 문의처 미추홀구치매안심센터/032-728-6590 - 자치법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치매센터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제8조, 제2항) - 행정규칙 - 법령 치매관리법(제17조, 제2항)

[(재)달성교육재단] 달성 장학금(성적우수 고1 입학생)

달성 장학금(성적우수 고1 입학생) - 소관기관명 : (재)달성교육재단 - 지원유형 : 현금(장학금) - 지원내용 ○ 성적이 우수하나 가정형편이 어려운 고등학교 진학생에게 장학금 지급(100만원) - 서비스목적 ○ 성적이 우수하나 가정형편이 어려운 고등학교 진학생에게 장학금 지급(100만원) - 지원대상 ○ 공고일 기준 달성군에 등록기준지 및 주소지를 2년 이상 두고 있는 군민 또는 그의 자녀 - 고등학교 입학생 중 선발하여 지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추후 공지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행정복지센터 :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방문 신청 - 구비서류 1. 공통 장학생 선발신청서, 학교장추천서,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주소변동 유), 개인(신용)정보 수집·이용·제공 및 조회 동의서, 신청인 서약서, 건강보험료 납부증명서(전년도 전체, 부·모 모두),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부·모 모두, 전국단위 전년도 7, 9월 토지, 건축물, 주택분), 성적증명서, 교육비납입증명서, 재학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다자녀가점) 2. 특별장학생(고등학교 신입생) : 중학교 석차 연명부 - 문의처 달성교육재단/053-644-9683 - 자치법규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성교육재단 설립 및 운영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대구광역시 수성구] 장애인 활동지원급여(구비추가)

장애인 활동지원급여(구비추가) - 소관기관명 : 대구광역시 수성구 - 지원유형 : 이용권 - 지원내용 - 국시비 지원사유 외 활동지원 급여 제공 - 지원내용 : 활동보조(신체활동, 가사지원, 이동보조 등), 방문목욕, 방문간호 - 지원대상: 긴급활동지원, 탈시설장애인, 최중증장애인(종합조사결과 점수반영), 구청장이 인정하는장애인(위기상황 확인할수 있는 의견서, 소견서 등 필요) - 지원시간: 332,400원(40시간)~1,994,400원(120시간) - 서비스목적 장애인활동지원 국고보조사업 지원시간 부족으로 어려움이 있는 중증장애인을 위해 구 추가지원을 통한 상시돌봄체계 구축 - 지원대상 장애인활동지원 1~15구간 수급자 중 해당 항목별 지원 - 긴급활동지원 : 월 60시간~월 120시간 - 탈시설장애인 : 월 40시간 (지원시점부터 3년, 필요시 연장) - 최중증장애인 : 월 20시간~월 40시간 (법정급여 갱신 시 자격 재판정) - 구청장이 인정하는 장애인 : 월 40시간 (지원기간: 2년, 필요시 연장)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예산 소진시까지)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구비서류 - 문의처 복지정책과/053-666-2562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장애인복지법(제53조)

[대구광역시 수성구] 중증장애인 자립생활가정(주택) 지원

중증장애인 자립생활가정(주택) 지원 - 소관기관명 : 대구광역시 수성구 - 지원유형 : 기타||기타(교육)||기타(상담)||서비스(돌봄)||시설이용||현물 - 지원내용 자립을 희망하는 시설퇴소 및 재가 장애인에게 독립생활이 가능한 임시 주거공간 제공 및 자립생활 기술훈련 지원 - 서비스목적 장애인의 자립생활 체험 및 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사회 통합과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지원대상 자립을 희망하는 시설 퇴소예정 장애인 또는 재가 중증장애인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입주자 결원 발생 시 모집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수행기관 : 함께하는장애인부모회 전화 문의 후 신청(053-751-6902) - 구비서류 - 문의처 복지정책과/053-666-2562 - 자치법규 대구광역시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조례(제12조)||대구광역시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조례(제13조) - 행정규칙 - 법령 장애인복지법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 백일축하용품 대여

동작 백일축하용품 대여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동작구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1. 신청대상 : 동작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영아의 부 또는 모 2. 사업내용 - 동작구에 거주하는 백일을 맞은 영아 가정에 백일 축하용품 대여 - 대여용품 : 백일 축하용품, 옷(한복, 정장 및 드레스), 범보의자, 테이블 3. 신청방법 - 대여 희망일 전월 첫 평일 오전 10시~매월 25일 사전예약 접수 (대여 희망일 전월 선착순 신청) - 대한민국동작주식회사 누리집 온라인신청(https://kdongjak.co.kr/) → 자격요건 확인(구청) → 업체 배송 및 회수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동작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4개월 이하 영아 가정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https://kdongjak.co.kr/ - 신청방법 - 대한민국동작주식회사 누리집 온라인신청(https://kdongjak.co.kr/) → 자격요건 확인(구청) → 업체 배송 및 회수 - 구비서류 - 문의처 동작구청 영유아보육과/02-820-9731 - 자치법규 서울특별시 동작구 출산지원금 지급에 관한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서울특별시 마포구] 2025년 마포구 구민안전보험

2025년 마포구 구민안전보험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마포구 - 지원유형 : 현금(보험) - 지원내용 상해사고로 장례비가 발생한 경우 1인당 1천만원 한도로 보장(공제없음) 상해사고로 의료비가 발생한 경우 1인당 35만원 한도로 보장(매 청구건당 3만원 공제) ※2025년 2월 22일 이후 사고에 대한 상해의료비의 경우 실손보험가입자 중복지급불가 - 서비스목적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 사고 및 재난으로부터 인적 피해 등을 지원 - 지원대상 마포구에 주민등록을 둔 모든 구민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상해를 입은 구민이 보험사에 직접 청구 보험사 전화 문의(02-6714-6835) --> 보험금 신청(Fax, 이메일 등) --> 청구내용 심사 --> 보험금 지급 Fax: 0505-170-0765 이메일: hanaclaim@hanafn.com - 구비서류 공통서류: 보험금 청구서, 사고경위서, 개인정보처리 동의서, 주민등록등본(초본), 통장사본 상해의료비: 진료비 영수증(급여/비급여를 확인할 수 있는 영수증), 초진의무기록지 상해사망장례비: 사망진단서(시체검안서), 망인 기준의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장례식장/화장시설 이용 영수증, 그 외 보험금 상속 관련 서류 어린이 보행 중 교통사고 부상 치료비: 어린이 기준 가족관계증명서(주민번호 표시), 보호자(수취인)의 통장사본, 자동차보험 보험금 지급내역서(부상등급 기재 필수) 어린이 자전거 탑승 중 응급실 내원진료: 어린이 기준 가족관계증명서(주민번호 표시), 보호자(수취인)의 통장사본, 응급실 의무기록 - 문의처 하나손해보험/02-6714-6835 - 자치법규 서울특별시 마포구 구민안전보험 운영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울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서울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마포구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청년)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청년외)연소득 6천만원 이하 (신혼부부)7천5백만원 이하 (주택조건)임차보증금 3억원 이내 소득기준을 가진 전연령 서울시 거주 무주택 임차인 중 보증기관 가입한 자 납부보증료 최대 40만원 지원 서비스(단, 청년외는 보증료의 90%) (*2025.3.31.이후 보증 가입자만 해당(이전 보증 가입자는 최대 30만원)) - 서비스목적 저소득층의 전세사기 피해 예방 및 안정된 주거환경 조성 - 지원대상 전연령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방문신청: 거주지 구청 온라인신청: 정부24 HUG안심전세포털 - 구비서류 ○ 보증기관에서 보증가입 시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사업을 위한 제3자 정보제공에 동의한 경우 - 보증료 지원 신청서, 서약서 ○ 신청인 제출 서류 - 보증료 지원 신청 및 서약서, 지급받을 계좌의 통장 사본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서, 보증료 납부 증빙서류*(납부액 기재) * HUG와 SGI의경우 보증서에 보증료가 기재되어 있으므로 별도 증빙서류 불필요 - 임대차계약서, 부동산 등기사항 전부증명서 - 주민등록등본(전체공개), 혼인관계증명서(일반증명서, 전부공개, 국내기관제출용) - 소득금액증빙자료(대출 및 보증가입 시 제출한 소득증빙자료와 동일하게 제출 가능하며 하단 서류 중 택 1, 소득발생처·주소·주민번호 공개로 발급) (근로소득) 최근년도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7.1일 이전은 전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 ISA 가입용 소득확인증명서, 임금대장, 근로소득원천징수부, 갑근세원천징수확인서 등 (홈택스에서 발급시 관공서 제출용으로 발급, 회사에서 발급시 회사 직인 필요) (사업소득)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7.1일 이전은 전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 IS...

[서울특별시 마포구] 장애인가정 출산지원금 지원

장애인가정 출산지원금 지원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마포구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지원대상: 마포구에 거주하는 신생아를 출산한 등록장애인 가정 - 지원금액: 신생아 1인당 150만원(장애등급 구분없음) ※ 복지부 및 서울시 장애인 출산비용 지원금(120만원)과 중복 수혜 가능 - 서비스목적 장애인가정에 출산 비용을 지원함으로써 장애인가정의 생활안정 및 사회적 통합에 기여 - 지원대상 ○ 신생아와 주민등록상 동일한 세대를 이루며, 마포구에 6개월 이상 거주하는 등록장애인 부 또는 모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구비서류 1. 장애인가정 출산축하금 지급 신청서 2. 장애인 본인 신분증 3. 출생사실이 기록된 주민등록등본, 주소이력 초본 4. 장애인 본인 명의 통장사본 - 문의처 장애인복지과/0231531685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서울특별시 은평구] 어르신 보행보조차 지원

어르신 보행보조차 지원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은평구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복지용구를 지원 받지 못하는 거동이 불편한 취약계층 어르신께 보행보조차를 지원하여 활기찬 노후생활 및 사회참여 확대에 기여하고자 함 - 서비스목적 복지용구를 지원 받지 못하는 거동이 불편한 취약계층 어르신께 보행보조차를 지원하여 활기찬 노후생활 및 사회참여 확대에 기여하고자 함 - 지원대상 ○ 만65세 이상 생계·의료급여수급권자 또는 차상위계층 ○ 대상판정 기준(※ 아래 순서에 의함) 1. 장기요양등급외 판정자 2. 장기요양등급 판정 탈락자 3. 장기요양인정 신청은 안하였으나, 거동불편 의사소견으로 보행기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관할 주민센터 신청 - 구비서류 지원신청서 및 첨부서류(의사 소견서 등) - 문의처 은평구청 어르신복지과/02-351-7154 - 자치법규 서울특별시 은평구 노인 성인용 보행기 지원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서울특별시 광진구] 치아홈메우기 지원

치아홈메우기 지원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광진구 - 지원유형 : 서비스(의료) - 지원내용 치아홈 메우기 구강진료 서비스 - 서비스목적 치아의 구조에서 씹는 면에 있는 좁고 깊은 틈을 메꾸어주어 치아우식증(충치)을 예방하기 위함 - 지원대상 광진구 구민으로서 의료급여, 차상위 건강보험전환자, 다문화가정, 지역아동센터 이용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or 전화예약 - (방문) 광진구보건소 2층 구강보건실 내원 - (전화예약) 광진구보건소 구강보건실 전화예약 ○ 신청인 제출서류(보건소 첫방문시) - 주민등록등본 ○ 공무원 확인가능 서류 - 주민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로 수급자, 차상위 확인가능) - phis, 행정정보공동이용 사전 동의 필요 - 구비서류 신분증지참 후 광진구보건소 방문 - 문의처 광진구 보건의료과/02-450-1949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구강보건법, 국민건강증진법, 지역보건법

[서울특별시 광진구] 고독사 예방 똑똑안부확인 서비스 지원

고독사 예방 똑똑안부확인 서비스 지원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광진구 - 지원유형 : 서비스(돌봄) - 지원내용 관내 고독사 위험군 및 사회적 고립 위험가구 안부확인 서비스로 고독사 예방 - 모바일 수ㆍ발신 이력 모니터링을 통한 대상자 안부확인 - 일정기간(평균 3일) 이상 수ㆍ발신 이력이 없는 가구에 대해 안부콜(자동ARS) 발신을 통한 수신 확인 후 위험 대상자 조치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관내 고독사 위험군 및 사회적 고립 위험가구 - 1인가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위기 상황 대응이 어려워 사회적 고립이 우려되는 다인 가구 포함(노인, 장애인 돌봄 가구 등)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관할 동주민센터 및 구청 복지정책과 방문신청 - 구비서류 서비스 신청서 - 문의처 광진구 복지정책과/02-450-7305 - 자치법규 서울특별시 광진구 1인가구 사회적 고립 및 고독사 예방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서울특별시 광진구] 저소득가구 주거편의 지원

저소득가구 주거편의 지원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광진구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현관 방충문, 창문 가림막, 비 가림막, 핸드레일 등 주거편의 시설물 설치 지원(최대 20만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주택법 상 주택에 거주 중인 저소득 주거취약계층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장애인, 기초연금수급자 등 - 고시원, 비주택 등 거주자 제외 - 창문가림막 및 비가림막 설치는 반지하 가구만 신청 가능 - 작년 사업 대상자 및 자가가구 제외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접수기관 별 상이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기타 : 거주지 동주민센터, 광진주거안심종합센터 주거상담소 - 구비서류 신분증 - 문의처 광진구 주택과/02-450-9754, 광진주거안심종합센터 주거상담소/02-2138-8373 - 자치법규 서울특별시 광진구 저소득주민의 생활안정 지원에 관한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구 구민안전보험

용산구 구민안전보험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용산구 - 지원유형 : 현금(보험) - 지원내용 피보험자 : 용산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모든 구민 (등록된 외국인포함) 보험기간 : 2025년 2월 23일 (00:00) ~ 2026년 2월 22일 (24:00) (1년) 보험료 : 용산구에서 일괄납부완료 가입절차 : 용산구 구민 전체 자동가입완료 ※ 용산구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모든 구민은 별도 가입절차 없이 보험기간중 해당사고로 보험금 지급사유 발생시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보장항목: 상해사망/상해후유장해(교통상해 제외) 1,000만원 / 200만원 한도 사회재난 상해진단위로금(감염병 제외) 30만원 대중교통상해 부상치료비(택시, 전세버스 제외) 100만원 한도 내 부상등급별 가입금액적용 화상수술비 20만원(수술1회당/심재성2도이상) 개 물림·부딪힘 사고 진단비 10만원(연1회 한) - 서비스목적 각종 재난이나 사고로 사망, 후유장해, 부상을 입은 구민에게 보험사를 통하여 보험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용산구에서 보험사와 직접 계약하여 보험료를 부담합니다. - 지원대상 피보험자 : 용산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모든 구민 (등록된 외국인포함)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1 .청구사유 발생시 보험사(상담 및 접수센터)에 문의 (구민안전보험 상담 및 접수센터 ☎1522-3556 / FAX. 0507-774-0662) 2. 청구서 및 필요서류 제출 3. 서류심사(지급여부판단) *필요시 사고 조사 4. 보험금 지급 - 구비서류 공통서류 ① 보험금 청구서 ② 개인(신용)정보처리동의서(위임해주시는 분들도 작성 필요합니다) ③ 주민등록등본(초본) /외국인등록증 /외국인등록 사실증명서 / 국내거소신고사실증명서 중 1부 ④ 통장사본 ⑤ 신분증사본 ⑥ 미성년자의 경우 가족관계 증명서, 보호자(수취인)의 통장사본 및 신분증사본 사망 ① 공통서류 ② 사망진단서(사체검안서) ③...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 중구 구민 생활안전보험

서울특별시 중구 구민 생활안전보험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중구 - 지원유형 : 현금(보험) - 지원내용 중구민이 상해사고로 의료비가 발생한 경우 50만원 한도 중구민이 상해로 사망하여 장례비가 발생한 경우 1,000만원 한도 만12세 이하 어린이가 보행 중 교통사고로 부상등급을 받은 경우 100만원 한도 (어린이 자전거 탑승 중 사고 응급실 내원진료비 10만원 한도 특약 포함) - 서비스목적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 사고 및 재난으로 인한 인적 피해 등을 지원 - 지원대상 주민등록 된 주민(등록외국인 포함)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https://www.junggu.seoul.kr/content.do?cmsid=15297 - 신청방법 ○ 지급방법 - 전화 : 02-6714-6835 - 메일 : hanaclaim@hanafn.com - 팩스 : 0505-170-0765 - 구비서류 ○ 공통서류 - 보험금청구서 - 사고경위서 - 개인정보처리동의서 - 주민등록등본(초본) - 통장사본(미성년자의 경우 보호자의 통장사본) ○ 상해의료비 - 초진의무기록지 - 진료비영수증(급여/비급여 항목 구분 필수) ○ 상해사망 장례비 - 사망진단서(사체검안서) - 망인기준의 가족관계증명서 등 - 장례식장/화장시설 이용 영수증 - 그 외 보험금 성속 관련 서류(위임장, 인감증명서 등) - 문의처 하나손해보험/02-6714-6835 - 자치법규 서울특별시 중구 구민생활안전보험 운영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난관리기금의 임대주택 이주 지원 및 임차비용 융자

재난관리기금의 임대주택 이주 지원 및 임차비용 융자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종로구 - 지원유형 : 현금(융자) - 지원내용 1. 지원대상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40조부터 제42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대피명령 또는 퇴거명령을 이행하는 임대주택으로의 이주자 2. 지원기준(융자금) ○ 이주비: 임대주택 이주에 소요된 실비 ○ 주택임차비: 임차비의 70%이하, 융자한도 3천만원 이하 ○ 이자율: 연 3%, 다만 거치 기간 중에는 무이자 ○ 상환기간: 2년 거치 3년 균등분할상환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1. 지원대상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40조부터 제42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대피명령 또는 퇴거명령을 이행하는 임대주택으로의 이주자 2. 지원기준(융자금) ○ 이주비: 임대주택 이주에 소요된 실비 ○ 주택임차비: 임차비의 70%이하, 융자한도 3천만원 이하 ○ 이자율: 연 3%, 다만 거치 기간 중에는 무이자 ○ 상환기간: 2년 거치 3년 균등분할상환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필요서류 지참 후 방문신청 - 구비서류 1. 재난관리기금 융자신청서 2. 재난관리기금 사용계획서 3. 기타 필요서류 - 문의처 안전도시과/02-2148-3005 - 자치법규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난관리기금 조례 시행규칙(제4조) - 행정규칙 - 법령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제40조)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상공인 도로점용료 25% 감면(점용목적 - 차량진출입로, 10% 추가감면)

소상공인 도로점용료 25% 감면(점용목적 - 차량진출입로, 10% 추가감면)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종로구 - 지원유형 : 현금(감면) - 서비스목적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2025.03.10~2025.03.31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접수방법 : 방문 또는 등기우편 접수 - 접수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길 36(수송동 146-12) ,8층 종로구청 재무과 - 구비서류 (신청인 제출) ○ 제출서류 [ 1), 2), 3) 개인·법인 공통 제출 / 4), 5) 법인에 한해 제출] 1) 소상공인 확인신청서(첨부 서식 1) 2)직전 사업연도 월별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근로자확인이 가능한 고용보험 납부영수증 등) 3) 직전 3개 사업연도 재무제표 또는 세법이 정한 회계장부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원, 소득금액증명원, 표준재무제표증명원, 부가가치세면세 사업자 수입금액증명 등 매출액 확인이 가능한 서류) 4) 지분관계도 1부(첨부 서식 2)(법인에 한함) 5) 주주명부, 연결재무제표 및 관계기업의 1), 2), 3) 해당서류 각 1부 (관계기업에 속하는 법인에 한함) - 문의처 재무과 재산관리2팀/02-2148-1495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도로법(제68조)

[서울특별시 종로구] 아동양육시설 위문

아동양육시설 위문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종로구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명절(설, 추석) 및 어린이날 위문비 지급 (1명당 10천원) - 서비스목적 아동복지시설 내 보호아동의 건강한 성장 지원 - 지원대상 ○ 아동복지시설 생활아동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명절, 어린이날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공문 및 신청서 제출 - 구비서류 - 문의처 아동복지과/02-2148-2984 - 자치법규 서울특별시 종로구 저소득주민의 생활안정 지원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서울특별시 종로구] 한의약 치매 건강증진서비스 지원

한의약 치매 건강증진서비스 지원 - 소관기관명 : 서울특별시 종로구 - 지원유형 : 서비스(의료) - 지원내용 ○ 보건소형- 정상군 대상, 치매예방교육 및 기공체조, 명상요가 등 치매예방교실 프로그램 운영 ○ 한의원형 - 위험군(인지기능 저하자) 대상, 지정한의원에서 한의약적 진료 (총명침, 한약)및 개별상담 - 서비스목적 60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한의약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지원대상 ○ 60세이상 인지선별검사 및 우울증 선별검사 결과 기준점에 해당하는 자로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참여 희망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보건소형은 프로그램시작전, 한의원형은 4월에서 10월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한의원형 : 본 사업에 참여하는 관내 지정한의원에 방문신청 ○ 보건소형 : 60세이상 정상군으로서 치매예방에 관심있는 지역주민이 보건소 방문접수및 유선접수 - 구비서류 - 문의처 건강증진과/02-2148-3663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노인복지법, 노인복지법(제4조)

[고용노동부] 산재근로자 특별진찰

산재근로자 특별진찰 - 소관기관명 : 고용노동부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재활특진 후 전문재활치료 - 서비스목적 급성기 이후 기능회복 의료재활을 통해 장해 최소화, 원활한 직업 및 사회복귀 촉진 - 지원대상 ① 뇌혈관질환(뇌손상 포함): 발병일 또는 수술 후 6개월 이내 ② 척추질환(마비증세가 뚜렷한 경우 제외), 견관절질환, 주관절질환, 완관절·수부질환, 고관절질환, 슬관절질환, 족관절·족부질환: 발병일 또는 수술 후 3개월 이내 ③ 위 어느 하나의 질환으로 요양기간이 발병일 또는 수술일로부터 3개월(뇌혈관질환은 6개월)을 경과하였으나 전문적인 재활치료의 효과가 기대된다는 의학적 소견이 있는 경우 - 선정기준 ① 뇌혈관질환(뇌손상 포함): 발병일 또는 수술 후 6개월 이내 ② 척추질환(마비증세가 뚜렷한 경우 제외), 견관절질환, 주관절질환, 완관절·수부질환, 고관절질환, 슬관절질환, 족관절·족부질환: 발병일 또는 수술 후 3개월 이내 ③ 위 어느 하나의 질환으로 요양기간이 발병일 또는 수술일로부터 3개월(뇌혈관질환은 6개월)을 경과하였으나 전문적인 재활치료의 효과가 기대된다는 의학적 소견이 있는 경우 - 선정기준 ① 뇌혈관질환(뇌손상 포함): 발병일 또는 수술 후 6개월 이내 ② 척추질환(마비증세가 뚜렷한 경우 제외), 견관절질환, 주관절질환, 완관절·수부질환, 고관절질환, 슬관절질환, 족관절·족부질환: 발병일 또는 수술 후 3개월 이내 ③ 위 어느 하나의 질환으로 요양기간이 발병일 또는 수술일로부터 3개월(뇌혈관질환은 6개월)을 경과하였으나 전문적인 재활치료의 효과가 기대된다는 의학적 소견이 있는 경우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SMS 문자 내용 확인후 특진의료기관 선택확인서 제출 - 진료계획서 상 재활특진의뢰 소견(특진의료기관 선택 포함)제출 - 구비서류 없음 - 문의처 근로복지공단/15880075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산업...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학교 밖 청소년 자기개발지원

학교 밖 청소년 자기개발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이용권 - 지원내용 ○ 강원특별자치도 1년이상 계속 거주 춘천시 9세~19세 미만 학교 밖 청소년에 월 50,000원(분기별 최대 150,000원) 모바일춘천사랑상품권 충전 지급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강원특별자치도 1년 이상 계속 거주 학교 밖 청소년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구비서류 : 신청서, 학교 밖 청소년임을 증명하는 서류 및 1년이상 강원도내거주 확인 서류 제출 - 구비서류 - 문의처 여성가족과/033-250-4298 - 자치법규 춘천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제5조) - 행정규칙 - 법령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제10조),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제9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한우 수정란 이식 비용 지원

한우 수정란 이식 비용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춘천시 관내에서 한우를 사육하는 농가 대상으로 수정란 구입 및 이식 비용 지원 - 1회 이식 당 5만원이며, 보조 50% 자부담 50%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관내 축산업 등록을 한 한우농가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기타 : 춘천철원화천양구축협 - 구비서류 - 문의처 축산과/033-250-3395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축산법(제3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지역화폐(춘천사랑상품권)

지역화폐(춘천사랑상품권)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이용권 - 지원내용 ○ 소비자 - 구입 시 7%할인,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30% ※ 할인혜택은 시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가맹점 - 가맹점 카드 결제 수수료 절감, 홍보효과, 가맹점 매출증대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만14세 이상 개인(대리 구매 불가)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http://ccgc.chuncheon.go.kr/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1. 스마트폰에서 춘천사랑상품권 또는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연계 앱(비플페이 등)을 다운로드 한 후, 회원가입 진행 2. 절차에 따라 '개인정보 등록' 및 상품권 구입 ○ 방문 - 지류 : 관내 관내 농축협, 신협, 새마을금고에 방문하여 구매(신분증지참, 본인구매) - 구비서류 ○ 신청인 제출서류 - 신분증 지참 - 현금 또는 계좌이체만 가능 - 문의처 춘천시 경제정책과/033-250-3351 - 자치법규 춘천사랑상품권 발행 및 운용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저소득 노인가구 국민건강보험료 지원

저소득 노인가구 국민건강보험료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보험) - 지원내용 ○ 국민건강보험료 가입세대 중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건강보험료와 노인장기요양보험료를 지원 - 서비스목적 저소득 노인가구에 국민건강보험료를 지원함으로써 노인의 건강증진 및 사회복지 향상 - 지원대상 ○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춘천시 지역가입자 중 월별 보험료 부과금액이 동 시행령 제32조제2호나목에 따른 보건복지부 장관 고시 하한액 미만 만 65세이상 노인가구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신청불필요(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대상자 추출)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개인 신청절차 없음 - 국민건강보험공단 춘천지사에서 대상자DB 통계 자체 추출 - 구비서류 - 문의처 춘천시 경로복지과/033-250-4186 - 자치법규 춘천시 저소득 노인가구 국민건강보험료 및 노인장기요양보험료 지원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노인 무료급식 지원

노인 무료급식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 경로식당 : 결식우려 저소득층 노인에게 무료식사 제공 ○ 식사배달 : 거동불편 취약계층 노인에게 식사배달 ○ 오지마을 반찬배달 : 오지마을 영양결핍 우려 노인에게 반찬 지원 - 서비스목적 거동이 불편하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어 결식 우려가 있는 어르신에게 양질의 식사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적 어려움 및 고립감을 해소하고 사회적 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하여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 - 지원대상 ○ 만 60세 이상 저소득층 노인(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복지관 방문 및 전화상담 등 - 구비서류 - 문의처 춘천시청 고령사회정책과/033-250-4186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노인복지법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춘천형 위기가구 생활안정 지원

춘천형 위기가구 생활안정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갑작스런 응급상황에 처한 위기, 욕구별 맞춤서비스 지원 - 의료비, 간병비, 생계비, 난방비, 주거수리비, 체납공과금 등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춘천시 관내(주민등록)거주지로 기준 중위소득120%이하, 재산1억5,200만원 이하, 금융800만원 이하 가구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 방문 신청 ◯ 방문신청 어려울시 병원 내 사회사업실 통해 상담 진행 후 신청 가능 - 구비서류 ◯ 신청인 제출서류: 신청서+추천서 - 기초생활 보장 자격 없을 경우: 가구원의 최근 통장 거래내역 6개월,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임대차계약서(사용대차확인서) - 기초생활 보장 자격 대상자는 위의 서류 제출 불요 1)의료비 신청시: 진단서, 입퇴원확인서, 진료비 중간영수증 2)간병비 신청시: 진단서(간병이 필요하다는 소견 기재), 입원확인서 ◯ 공무원 확인가능 서류(의료비와 간병비의 청구업체 제출 서류) 1)의료비 청구시: 청구서, 의료비 최종 계산서, 사업자등록증, 통장사본 2)간병비 청구시: 청구서, 간병인의 자격증 사본(간병사, 요양보호사, 자격증 없을시 재직증명서, 근로계약서), 사업자등록증, 통장사본 - 문의처 복지정책과/033-250-3555 - 자치법규 춘천시 저소득 위기가구 생활안정지원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토종벌 사육농가 생산지원

토종벌 사육농가 생산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 춘천시 관내에서 토종벌 사육하는 농가 대상으로 벌통(개량형,재래형), 꿀 포장재 지원 - 군당 10만원 한도 내 보조 50% 자부담 50%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양봉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제12조에 따라 등록한 양봉등록(토종벌) 또는 혼합양봉등록 농가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2024.12.31.~2025.1.17.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사육하는 대상지의 읍면동사무소 - 시군구 : 관할 시청 방문 - 구비서류 1. 농업경영체 등록증 2. 양봉등록증 3. 사업신청서 및 계획서 등 - 문의처 축산과/033-250-3395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양봉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2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생계곤란가정 긴급생활용품 지원

생계곤란가정 긴급생활용품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 현물지원 : 난방용품, 생활필수품, 의류, 식료품, 의료용품, 가전제품 등(지원 종료 시 1년간 재지원 불가)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지원기준 : 기중중위소득 120%이내(건강보험료기준) ○ 지원대상 - 수급권자 및 차상위계층, 사회복지시설 이용자 - 재난,재해 및 휴,폐업 실업,질병,사고 등의 사유로 긴급지원이 필요한자 - 그 밖에 생활안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시장이 인정하는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 신청 - 구비서류 1. 온라인 신청 : 불가 2. 방문신청 O 신청인 제출서류 - 신분증(필수) - 건강보험자격확인서(기초수급자, 차상위 계층 미해당시) - 건강보험료납부확인서(기초수급자, 차상위 계층 미해당시) - 위기사유별 확인서류(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출소증명서 등) O공무원 확인가능 서류 -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 차상위계층확인서 - 문의처 복지정책과/033-250-3496 - 자치법규 춘천시 긴급복지지원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경기도 양평군] 양평군 산후조리비 지원

양평군 산후조리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경기도 양평군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서비스 내용 : 양평군에 거주하는 가정을 대상으로 양평군 산후조리비 지원 ○ 서비스 금액: 출생아 1인당 50만원 현금지급 - 서비스목적 양평군 출산가정에 산후조리원 이용 등 산후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여 산모의 산후회복 및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도모하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 완화 - 지원대상 ○ 신생아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6개월 이상 양평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가정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온라인 신청 - 정부24 : www.gov.kr - 구비서류 - 문의처 건강증진과/031-770-3538 - 자치법규 양평군 산후조리비 지원 조례 - 행정규칙 - 법령

[경기도 양평군] 무료급식 대상자 특별식 지원

무료급식 대상자 특별식 지원 - 소관기관명 : 경기도 양평군 - 지원유형 : 현물 - 지원내용 ○ 명절(설, 추석) 및 어버이날에 떡국, 송편 등을 제공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경로식당 무료급식 - 60세 이상 저소득(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노인 ○ 저소득 재가노인 식사배달 - 60세 이상 노인(기초생활수급 노인 및 차상위계층)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경로식당 이용이 어려워서 결식이 우려되는 노인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기타 : 양평군 노인복지관, 양평군 종합사회복지관 - 구비서류 - 문의처 노인복지과/031-770-3982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노인복지법

[경기도 양평군] 저소득 한부모가정 난방비 지원

저소득 한부모가정 난방비 지원 - 소관기관명 : 경기도 양평군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저소득 한부모가정에게 동절기(11월 ~ 3월) 기간 난방비 지원(가구당 월 5만원 지급) - 서비스목적 저소득 한부모가구 겨울철 난방비 지원으로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 기여 - 지원대상 ○ 저소득 한부모 가족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해당없음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개인 신청절차 없음 - 별도 신청 불필요 - 구비서류 구비서류 없음 신청없이 저소득한부모 가구(생계급여 가구 제외)에 지급 - 문의처 가족복지과/031-770-2269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한부모가족지원법

[경기도 안성시] 2025년 안성시 시민안전보험

2025년 안성시 시민안전보험 - 소관기관명 : 경기도 안성시 - 지원유형 : 현금(보험) - 지원내용 시민이 자연재해로 인해 사망한 경우(태풍, 홍수, 호우, 대설, 한파, 지진 등) 500 시민이 폭발,화재,붕괴사태 사고로 상해사망한 경우 500 시민이 상해로 화상을 입고 병원 또는 의원 등에서 수술을 받은 경우 100 시민이 폭발,화재,붕괴사태 사고로 3%~100%의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시민이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사망한 경우(만15세 미만자 제외, 전세버스 포함) 1000 시민이 대중교통 이용 중 3%~100%의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전세버스 포함) 1000 시민이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사망한 경우(만15세 미만자 제외, 전세버스 포함) 1000 시민이 대중교통 이용 중 3%~100%의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전세버스 포함) 1000 시민(만12세 이하)이 스쿨존 교통사고로 인해 부상시 부상등급에 따라 치료비 지급 1000 시민(만65세 이상)이 실버존 교통사고로 인해 부상시 부상등급에 따라 치료비 지급 1000 시민이 물놀이 사고로 인해 사망한 경우 500 시민이 농기계사고에 의해 발생한 상해의 직접적인 결과로 사망한 경우 500 시민이 농기계사고에 의해 발생한 상해의 직접적인 결과로 3%~100%의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1000 시민이 상해사고로 응급비용, 치료비, 수술비, 입원비 등이 발생하고 4주이상 진단받은 경우(교통사고 제외) 20~50 시민이 상해의 직접 결과로 3~100%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교통사고 제외) 500 시민의 상해의 직접 결과로 사망한 경우(교통사고 제외) 500 - 서비스목적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 사고 및 재난으로부터 인적 피해 등을 지원 - 지원대상 지역 주민 모두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방문신청 - 구비서류 - 문의처 시민안전보험/1522-3556 - 자치법규 ...

[대구광역시 중구] 이동목욕사업

이동목욕사업 - 소관기관명 : 대구광역시 중구 - 지원유형 : 서비스(돌봄) - 지원내용 ○ 재가 중증장애인 및 거동불편 독거노인에 대힌 이동목욕 차량을 이용한 이동목욕서비스 및 심리지원 제공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재가 심한 장애인 및 거동불편 독거노인(추천 시)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개인 신청절차 없음 - 동별 재가중증장애인 및 거동불편 독거노인 추천 - 확인 절차를 통해 목욕서비스 지원 대상여부 확인 후 선정 - 비정기적인 지원이 필요한 경우 지역사회(이웃주민, 유관기관 등)의 추천을 받아 수시 선정 → 최종선정은 수행기관인 남산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에서 선정 후 서비스 실시 - 구비서류 - 문의처 생활보장과/053-661-2666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한우 인공수정료 지원

한우 인공수정료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춘천시 관내에서 한우를 사육하는 농가 대상으로 인공수정료 비용 지원 - 1회 당 5만원이며, 보조 50%, 자부담 50%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관내 축산업 등록을 한 한우농가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기타 : 춘천철원화천양구축협 - 구비서류 - 문의처 축산과/033-250-3395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축산법(제3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발달재활서비스 지원(시자체)

발달재활서비스 지원(시자체)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이용권 - 지원내용 ○ 발달재활서비스 - 언어·청능, 미술·음악·행동·놀이·심리운동·재활심리, 감각·운동 등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 국비사업 소득기준(중위소득 180%) 초과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만18세미만의 시각·청각·언어·지적·자폐성·뇌병변 장애아동 ○ 만6세 미만의 장애가 예견되는 아동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행정복지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구비서류 ○ 발달재활서비스 신청서 ○ 영유아의 경우,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 및 검사자료 - 문의처 장애인복지과/033-250-4326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장애아동 복지지원법(제21조),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시행규칙(제7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법학전문 대학원생 장학금 지원

강원대법학전문 대학원생 장학금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장학금) - 지원내용 ○ 장학금 지원 - 지원인원 : 연 12명(상, 하반기 6명) - 선정기준 : 춘천 고교출신 가정형편(한국장학재단 소득분위) + 전 학기 성적 ※ 도, 시군↔대학 장학금지원협약 체결(2007. 10월) - 서비스목적 지역 출신 법률전문가 양성을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 및 지역발전 도모 - 지원대상 ○ 강원대법학전문대학원생(지역고교출신)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매년 2-3월, 7-8월 중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기타 : 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 구비서류 - 문의처 산학협력과/033-250-3408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제16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가사·간병 방문관리사 지원

가사·간병 방문관리사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이용권 - 지원내용 ○ 사업목적 : 저소득층 위한 가사ㆍ간병 서비스를 지원하여 취약계층의 생활안정 도모 ○ 지원대상 : 만 65세 미만의 기준중위소득 70%이하인 계층 중 아래에 해당하여는 자 -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 6개월 이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중증질환자(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중증질환 상병 해당자) - 희귀난치성 질환자(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희귀난치성 질환 상병 해당자) - 소년소녀가정, 조손가정, 한부모가정(이 경우 대상자는 자녀, 손자녀가 됨) -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 - 기타 시ㆍ군ㆍ구청장이 예산 범위 내에서 가사ㆍ간병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상병 해당 여부는 상병(질병)코드 사전 확인 후 담당자 확인 요청 ○ 제외대상 - 유사 돌봄서비스 이용자 :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노인장기요양보험급여 등 - 보장시설입소자, 의료기관 입원 중인 이용자 등 ○ 본인부담금(단위 : 월, 원) - 월24시간(A형) : 면제(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24,770원(기준중위소득 70% 이하) - 월27시간(B형) : 13,930원(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27,860원(기준중위소득 70% 이하) - 월40시간(C형) : 면제(C형의 경우 기초의료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에 한하여 제공) ○ 지원절차 : 신청(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자격확인 및 결정 통지(시군구) → 제공기관 계약 및 서비스 이용(서비스 이용자) ○ 지원기간 : 자격결정일로부터 1년(재판정 절차를 통해 1년 단위 연장 가능) -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는 C형 이용 시 12개월 지원(연장불가) ○ 지원내용 - 신체수발 지원(목욕, 세면, 식사 등) - 건강지원(체위 변경, 재활운동 보조 등) - 가사 지원(청소,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가정위탁 양육보조금 지원

가정위탁 양육보조금 지원 - 소관기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지원유형 : 현금 - 지원내용 ○ 가정위탁아동 양육보조금 연령별 차등 지급(매달 20일) -만 7세미만 300천원 -만 7세~13세미만 400천원 - 만 13세이상 500천원 - 서비스목적 - 지원대상 ○ 가정위탁 및 소년소녀가정 - 선정기준 - 선정기준 - 신청기한 : 상시신청 - 접수기관명 :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 구비서류 - 문의처 보육아동과/033-250-3106 - 자치법규 - 행정규칙 - 법령 아동복지법, 아동복지법(제59조)

[경기도 양평군] 경기도 양평군민안전보험

경기도 양평군민안전보험 - 소관기관명 : 경기도 양평군 - 지원유형 : 현금(보험) - 지원내용 폭발, 화재, 붕괴·산사태 사고로 사망한 경우(만 15세 미만자 제외) 2,000만원 폭발, 화재, 붕괴·산사태 사고로 3%~100%의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2,000만원 한도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 사망한 경우(15세 미만자 제외) 2,000만원 대중교통 이용 중 3%~100%의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2,000만원 한도 만 12세 이하인 자가 보험기간 중에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한 지역(스쿨존)에서 교통사고로 상해를 입은 경우(부상등급 1~5급) 1,000만원 한도 직무 외 행위로 타인의 생명, 신체 또는 재산의 급박한 피해를 구제하다 신체상해를 입어 의사상자로 인정된 경우 1,000만원 한도 농기계사고에 의해 발생한 상해의 직접적인 결과로 사망한 경우(만 15세 미만자 제외) 2,000만원 농기계사고에 의해 발생한 상해의 직접적인 결과로 3%~100%의 상해후유장해가 발생한 경우 2,000만원 한도 야생동물에 의해 직접적인 사망한 경우(만 15세 미만자 제외) 2,000만원 야생동물에 의해 직접적인 결과로 인한 신체상의 피해의 경우 100만원 한도 유독성물질에 불의의 중독 및 노출에 의한 직접결과로써 유독성물질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분류표에서 정하는 중독 및 노출로 인하여 사망한 경우(만 15세 미만자 제외) 2,000만원 국내에서 물놀이사고로 사망한 경우(만 15세 미만자 제외) 2,000만원 대한적십자사 산하 혈액원에서 주관하는 헌혈에 참여하여,그 후유증으로 인해 대한적십자사의 “헌혈후유증 판정위원회”에서 헌혈후유증 환자로 판정, 치료를 받은 경우 100만원 한도 국내에서 발생한 개물림 사고의 직접결과로써 응급실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은경우 50만원 만65세 이상인 자가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한 지역(실버존)에서 교통사고로 인해 상해를 입은 경우 (부상등급 1~5급) 1,000만원 한도 뺑소니사고 또는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사고로 사망한 경우...